유정복 인천시장, 정치적 공방 대신 '민생' 집중 행보

시민 체감형 정책 확대...국제 협력과 지방외교 강화

▲ (사진=인천타임스 DB)


정치적 논쟁 속에서도 유정복 인천시장이 시민 삶과 직결된 정책 추진에 집중하고 있다.


유 시장은 “정치적 공방은 일시적 소음일 뿐, 지방정부의 본질은 시민의 삶과 직결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며, 모든 행정 판단의 기준은 시민이라고 강조했다.


▲ 저출생·돌봄 문제 해결 위한 정책 확대


인천시는 맞벌이 및 저소득 가정 자녀를 위한 '야간 긴급돌봄 서비스'를 확대했다. 여성가족부 시범사업과 연계해 밤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까지 돌봄을 제공한다. 이는 유 시장의 핵심 정책인 '아이플러스'와 함께 육아 부담을 완화하고 저출생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아이를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부모들이 체감하는 정책"이라며, 이번 서비스 확대가 시민의 일상과 직결된 민생 정책임을 강조했다.


▲ 교통 편의 증진과 지역 경제 활성화


교통 문제 해소와 시민 편의 증진 또한 유 시장의 주요 정책 목표다. 제3연륙교 통행료 무료화와 영종·청라 교통 개선, 원도심 재생 정책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특히, 인천 연안 섬을 단돈 1,500원에 방문할 수 있는 바다패스정책은 타 시·도 주민에게도 최대 70%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최근 시민 1만 2,75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바다패스는 가장 선호하는 정책으로 꼽히기도 했다.


▲ 국제 협력과 지방 외교 강화


유 시장은 국제 무대에서도 시민 체감형 정책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APEC 2025 민관대화 축사에서 그는 "인천은 출생·육아·주거·교통 등 시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현실적 저출산 대응 정책을 끊임없이 실현하는 도시"라고 말했다. 이는 도시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동시에 시민 중심의 정책을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지방정부는 정치적 논쟁보다 시민이 체감하는 정책 실현이 우선"이라며, 유 시장의 정책 기조가 실질적인 민생 문제 해결과 도시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평가한다.


인천시 관계자는 "모든 정책 결정과 실행 과정에서 시민 참여와 의견 수렴을 강화해 시민 중심의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인천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윤경수 기자 다른기사보기